2019년 제1차 운영위원회의 - 2019 사업계획안 (1)
- 작성자 :
- KRD
- 작성일 :
- 19-03-18 19:04
- 일 시 :
- 2019.01.30
- 장 소 :
- 한러대화 사무국 504호
- 첨부자료 :
본문
(2019.1.30 운영회의) 2019년 한러대화 양국 사업계획안
(1.21 양국 조정위원장 화상회의 결과 반영)
№ |
분과 |
양국 합의사항 / 국내사업계획
|
한국측 추가 의견 / 비고 |
1 |
정치 국제 관계
|
1. 전문가 세미나 - 글로벌 차원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러한협력 전망 (3월 8일, 서울: 국립외교원)
|
* 러측 8인 참가 확정 (후돌레이 분과위원장/쿠르바노프/란초바/콥슈(이상 상트대 교수), 이바셴초프/수히닌 전 대사, /흘롭코프(에너지안보연구센터 소장), 바실리사(사무국) ** 러측에서 란코프 국민대교수 참석 희망 *** 세미나 계획안 준비중 |
2. 전문가 세미나 - 동북아지역 안전보장 문제(9월말-10월 초, 상트) |
* 제5차 KRD포럼 개최시 포럼 분과회의를 통해 진행 ** 한러대화 전략컨퍼런스, 2019 한러 정경포럼(KF공동) – 제5차 KRD포럼 개최 여부에 따라 추후 결정 | ||
국내사업계획 1. 정책 세미나: ‘신북방정책 평가와 방향’ 2. 제2차 대러 공공외교 세미나 |
| ||
2 |
경제 통상
|
1. 2019년 한러 신 성장동력 발굴 공동 회의 - 5월, 상트(가스프롬 신 사옥) - 주요 의제: ① 스마트 홈, 스마트 시티, 지능형 교통시스템 등 첨단인프라 분야, ② 의료기기 공급 분야 협력, ③ 블록체인 및 AI 등 첨단 기술 협력 |
|
2. 한국 중소 제조생산 기업의 러시아 진출 - 10월 혹은 11월, 서울 - 주요 의제: ① 중소 제조업체 가치사슬 협력, ② 러시아 제조업 첨단화 및 수입대체 분야 협력(생산설비, 생산, 조립, 가공, 포장, 물류, 공장 건설 엔지니어링 등) |
* 구체적 추진과정에서 러측과 조율
| ||
국내사업계획 1. 신북방정책과 극동개발 관련 워크샵 2. 주요 현안 리포트 발간 |
*크로파체프 위원장 요청: 2018.11.08 방한 협의시 전경련 관계자가 언급했던 경제분야 양국 협력 발전 관련 러측에 제안/질의 희망사항을 알려줄 것 – 최근 북방경제위/코트라/러시아전략청 공동 발간 책자 - <러시아 투자실무 가이드>(630쪽 분량)로 대체 | ||
3 |
문화 예술
|
1. 박경리문학제와 세미나 - 6월(20일: 동상제막 1주년 계기), 상트대 - 상트대 학생들의 박경리 시 낭송과 발표, 혹은 양국 학생 공동 박경리문학 관련 콘텐츠 제작 발표 - 한국측 분과위원/작가 참가
|
* 박경리문학제/ 상트국제문화포럼 계기에 러측이 제안한 세미나(3번) 추진
** 러시아영화제는 국내 연구소에서 추진시 공동개최 형식으로 진행 협의
*** 한국측에서 문학제/세미나/영화제 등 행사 내용과 참가자 규모 등 제안사항을 결정하여 러측에 전달하기로 함. |
2. 상트 국제문화포럼 참가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